1959년 작성 우리나라 최초 '지명조사철' 일반에 공개

건국 이래 첫 공간정보 구축사업 결과 담은 역사기록물

지난 1959년에 작성된 대한민국 최초의 전국 지명조사철 194권이 국토정보플랫폼에 공개됐다.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은 지명과 지리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높이고 학계의 관련 분야 연구를 촉진하기 위해 지명조사철 194권을 국토정보 플랫폼을 통해 공개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에 공개되는 지명조사철은 1959년 시행된 지명조사사업을 통해 작성된 공간정보 역사기록물로 1만 5000쪽에 달하는 방대한 양이다. 작성 60여년 만에 처음으로 일반에 공개되는 것이다.

1950년대에는 각 지형·지물이나 주요 장소를 일컫는 이름인 지명에 대해 부르는 사람마다 서로 다른 경우가 많았다. 이에 정부에서는 지명의 혼선에 따른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전국 주요 지명의 통일·제정을 목적으로 지명조사 사업을 추진했다.

지명조사 사업은 국토지리정보원의 전신인 지리연구소 내에 설치된 중앙지명제정위원회와 시·도, 시·군, 읍·면·동에 각각 설치된 각급 지명제정위원회(이하 지명위원회)를 통해 계획적·체계적으로 진행됐다.

전국 각지의 읍·면장, 이장 등을 포함해 각급 지명위원회에 참여한 인원은 3만 3000명에 이르렀으며 사업의 성격이나 규모로 볼 때 해당 사업은 당시로서는 건국 이래 처음 이뤄진 최대 규모의 공간정보 구축사업이었다.



지명조사철에는 조사지역(행정구역)과 조사용 도면, 지명별 조사결과가 수록돼 있으며 현지에서 불리는 지명과 경·위도, 지명의 유래 등이 자세히 기록돼 있다.

아울러 조사결과에는 마을, 산업시설 등 지명의 종류에 따라 거주 가구수, 근무자수 등도 구체적으로 기록돼 있어 당시의 사회상도 간접적으로 엿볼 수 있는 등 귀중한 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 국토지리정보원의 설명이다.

정부는 지명조사철 내용을 근거로 1961년에 8만여건을 ‘표준지명사용에 관한 건’으로 관보에 고시했고 1963년에는 이 고시를 바탕으로 건국 이래 최초의 민간지도가 만들어졌다.

사공호상 국토지리정보원장은 “한국전쟁 이후 국토재건에 박차를 가하던 당시의 국토공간정보와 사회상을 지명의 관점에서 들여다보고 공감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지명에 대한 방대한 역사기록물인 지명조사철 전문을 공개하는 만큼 관련 학계를 통해 깊이 있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더-경기북부,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안미옥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