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앞두고 벌쏘임·예초기 사고 주의보...예방 요령은?

벌이 달려들 때 엎드리거나 웅크리면 더 공격적...자리에서 벗어나야
예초기 사용시 날카로운 칼날 등 주의...안면보호구·무릎보호대 등 필수

지난 2017년부터 최근 5년 동안 벌에 쏘여 병원 진료를 받은 환자는 총 6만 3174명으로 나타났다. 벌들의 활동이 왕성해지는 8~9월에 52.1%가 발생했다.

또 여름철 무성하게 자란 풀을 정리하기 위해 예초기를 사용할 때에는 안전사고 예방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행정안전부는 24일 오는 9월 추석을 앞두고 벌초나 성묘를 할 때는 예초기 안전사용과 함께 벌에 쏘이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를 요청했다.

최근 5년간 벌쏘임 연령대는 50대가 27.1%로 가장 많았다. 이어 60대 23.5%, 40대 15.4%, 70대 10.6% 순으로 발생했다.

지역적으로는 비교적 도심이 많은 특별·광역시에서는 다소 낮게 발생했지만, 경기가 가장 많았고 경북·전남·경남 순으로 많이 발생했다.

벌쏘임 예방을 위해 산행 등 야외활동을 할 때는 어두운색 보다는 밝은색의 모자와 옷을 선택하고,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는 긴 옷차림이 좋다.

향이 강한 화장품 등의 사용을 자제하고, 벌을 부르는 달콤한 과일과 음료 섭취 및 먹고 남은 음식물 관리에도 주의해야 한다.



땅속이나 나뭇가지 사이로 벌이 자주 들락거리는 경우 가까운 곳에 벌집이 있을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특히 한 마리가 여러 번 침을 쏠 수 있는 말벌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풀 베기 작업을 하기 전에는 수풀이나 묘지 주변을 찬찬히 둘러보며 벌집 등 위험요인을 확인 후 작업하고, 주변에 벌이 있지만 아직 공격하기 전이라면 벌을 자극하는 큰 동작은 피하며 조심스럽게 그 자리를 벗어나야 한다.

만약 벌집 등을 건드려 벌이 쏘기 시작하면 무조건 그 자리에서 벗어나 20m 정도 떨어진 곳으로 즉시 대피해야 한다.

이때 놀라서 땅에 엎드리거나 웅크리면 더 많이 공격받기 쉬우니 머리 부분을 보호하며 신속히 그 자리에서 벗어난다.

한편 벌집을 발견했다면 섣불리 제거하려고 하지 말고 119나 전문가를 통해 해결하도록 한다.

예초기 작업 시 발생하는 부상은 골절이 30.8%로 가장 많았다. 칼날 등에 의한 베임은 23.1%, 근육과 인대파열 15.4% 외에도 찔림이나 신체절단 등이 발생했다.

특히 예초기 사고는 날카로운 칼날로 뼈와 근육·인대 등이 손상되는 심각한 사고로 이어지기 쉬우므로 보호대 등의 안전장구 착용을 철저히 해야 한다.

또 예초기 작업 전에는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안면보호구, 보안경, 무릎보호대, 안전화, 장갑 등의 안전장비를 철저히 착용하고 긴 옷을 입는다.

예초 작업 중 돌이나 금속파편 등 이물질이 튀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원형날이나 끈날 등 가급적 안전날을 사용하고, 예초기는 보호 덮개를 장착해 사용하도록 한다.

특히 작업 중 예초기 칼날에 낀 이물질 등을 제거할 때는 반드시 예초기의 동력을 차단하고 장갑 낀 손으로 제거해야 한다.

아울러 예초기 작업 중에는 돌과 나뭇가지, 금속 파편 등이 튀어 위험하니 작업하는 반경 15m 이내로는 가까이 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구본근 행안부 예방안전정책관은 “벌초나 성묘 등으로 야외활동을 할 때는 주변을 잘 살펴 벌쏘임에 주의하고, 특히 평소 쓰지 않던 예초기를 사용할 때는 사용법을 충분히 숙지하고 보호대 등의 안전장구도 철저히 갖춰 사고를 예방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더-경기북부,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안미옥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