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시 별내면에 소재한 에코랜드 주민지원협의체(위원장 이영근)는 지난 23일 남양주시 북부 권역의 저소득 소외계층을 위한 마스크 50,000장을 남양주시 사회복지관 북부희망케어센터(센터장 전정수)에 전달했다.이번 나눔은 코로나19가 장기화됨에 따라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국 제로에너지건축(ZEB)의 비전을 말하다’남양주시-스웨덴 헤뤼다시, 디지털 세미나 개최남양주시는 지난 24일 자매 도시인 스웨덴 헤뤼다시와 ‘한국의 제로에너지건축’을 주제로 디지털 세미나를 진행했다. 제로에너지건축(ZEB:Zero Energy Building)은
박부영 남양주시장 권한대행은 지난 22일과 23일 양일간 조안면, 진접읍, 퇴계원읍, 진건읍에 조성 중인 펀 그라운드 4개소를 차례로 방문해 공사 현장을 점검했다.올해 상반기 중점 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는 펀 그라운드(Fun Ground)는 청소년만 출입이 가능한 청소년
남양주시는 지난해 재산세 부과 대상 51만 건에 대해 부과액 1,656억 원 중 1,632억 원을 징수하며 2015년 이후 가장 높은 98.5%의 징수율을 달성했다고 22일 밝혔다.시는 코로나19 장기화와 정부의 부동산 공시 가격 현실화 계획에 따른 주택 가격 상승으로
남양주시(시장조광한)는 2022년도 초등학생 입학일을 기준으로 관내 주민등록을 두고 입학하는 1학년 입학생에게 남양주사랑상품권(구 낭양주 지역화폐)으로 지급 할 예정이다.지원대상은 학생과 함께 주민등록에 사실상 양육자로 부모와 함께 등재되어 있어야 한다. 신청방법은 시
• 일반관리군 재택치료자 중 발열 등 증상이 있는 경우, 전화 상담 및 처방 가능한 > 동네 병•의원, > 재택치료의료상담센터를 안내드립니다. * 기초 의료상담을 실시하고, 필요시 의약품을 처방하는 24시간 운명하는 센터 (지자체 운영)* 위 기관은 향후 추가, 보완될
남양주시(시장 조광한) 다산1동 주민자치위원회에서는 위원들의 역량개발과 발전을 위해 저널리즘 교육을 지난 9일 비대면으로 진행하였다. 교육은 언론중재위원회 안백수교수가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 현직 언론인에게 듣는 언론현장의 이야기, 인격권 침해와 그 사례, 명예훼손과
언어정보연구센터가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COVID 19로 인해 지난해만 300여 개의 신조어가 탄생했고 시간이 지나면서도 계속해서 만들어지고 있다고 한다. 우리가 일상 속에서 사용하는 말에도 코로나 시대를 반영한 새로운 단어들이 많이 생겨났고 스스럼없이 사용하고 있다.
남양주시(시장 조광한)는 취업준비생들에게 면접정장을 무료 대여함으로써 취업준비 부담을 덜어주는 ‘청년 꿈날개 옷장’ 서비스를 7일부터 운영한다고 밝혔다.‘청년 꿈날개 옷장’은 공유옷장을 통해 재킷, 셔츠, 블라우스, 치마, 바지, 넥타이, 벨트, 구두 등 면접 시 필요
남양주시(시장 조광한)는 최근 급변하는 교육 환경 속에서 디지털 소외계층의 학습권 보장 및 미래 세대를 위한 투자를 위해 2022년도 학습용 스마트 기기 등 지원사업을 추진한다고 4일 밝혔다.이 사업은 가정환경에 따른 학습격차를 해소하고 우리 사회의 미래를 책임질 아동
지난 26일에 여유당뉴스의 김승수대표, 박영희 발행인과 5명의 기자는 남양주시청 집무실에서 조광한 경기 남양주시장(64)과의 톡투유 (Talk To U)시간을 가졌다. 조광한 시장은 “2022년에는 교통·공간·환경의 3대 혁신과 함께 복지혁신 완성과 2030년 인구
남양주시(조광한 시장)는 28일 시청 여유당 회의실에서 「남양주시 주민참여 기본 조례 제17조 주민참여위원회의 설치」에 의거하여 제5기 위원 29명(신규위원 12명, 연임위원 16명, 당연직 위원 1명)에게 위촉장을 수여 했다. 임기는 2년으로 2022년 1월 22일
남양주시(시장 조광한)는 25일 코로나19 선별진료소 3개소(남양주,동부,풍양) 및 임시선별검사소 3개소(제2청사,화도,별내)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전문 진단검사기관 3곳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금일 전국 코로나19 확진자가 13,000명대로 증가함에
25일 남양주시 다산 1동 주민자치위원회와 다산행정복지센터 환경팀은 무단투기 취약지역인 중촌마을을 중심으로 ‘플로깅 활동’을 실시했다.중촌마을은 쓰레기 배출장소가 좁아 적재된 폐기물로 인해 주변의 미관을 저해하는 폐기물 무단투기 취약지역이다. 다산 1동 주민자치위원회는